상업 시설은 업종이 다양하고, 같은 업종이라도 서비스의 종류와 운영 방식 등이 상이하다. 대표적으로 식당업의 경우, 주력 메뉴에 따라 서비스 형태나 매장 시설, 주요 소비층 등이 달라진다. 이에 식당을 창업할 때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한 고민이 커지게 된다.

 

상업 인테리어는 업종의 특징과 주력 서비스, 주요 소비층, 매장 입지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식당 인테리어를 계획할 때 체크해야 할 사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먼저, 인테리어의 컨셉과 방향성을 확실하게 설정해야 한다. 식당의 주력 메뉴와 타깃층을 정한 뒤, 그에 맞춰 인테리어 컨셉을 잡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명확히 정해야 적합한 인테리어 디자인과 매장 구조 등이 정해지므로, 단순히 유행하는 디자인만 고집하기보다는 매장만의 아이덴티티를 살릴 수 있는 인테리어 컨셉을 정해야 한다.

 

예산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식당 창업은 제한된 예산 내에서 진행되므로, 인테리어에 사용할 수 있는 예산 내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 필수적인 전기, 배관, 주방 설비 등의 기능적인 영역을 최우선으로 한 뒤, 매장의 컨셉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디자인 영역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

 

또한, 디자인적 요소뿐만 아니라, 운영의 효율성까지 고려해 동선과 레이아웃을 구성해야 한다. 단순히 예쁘기만 한 매장은 막상 운영해 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출입구와 홀, 주방의 동선이 겹치지 않게 공간을 구성하고, 운영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테이블을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환기 시스템과 냉난방 시설에도 신경을 써야 쾌적한 공간을 만들 수 있다.

 

자재, 마감재 등을 선택할 때는 가격, 미적인 요소 등도 중요하지만, 청소와 유지관리의 편의성도 고려해야 한다. 미끄럽지 않은 바닥재를 선택하고, 자재와 마감재의 내구성과 청소 용이성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주방에는 물과 기름에 강한 자재와 마감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조명 설치 시에는 공간의 크기와 목적, 테이블 배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음식이 맛있어 보이는 따뜻한 색의 조명이 도움이 되며, 주방이나 창고 등은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밝은 조명등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포인트가 되는 공간이나 출입구에는 간접조명, 포인트 조명 등을 활용해 원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병원, 식당, 카페, 사무실, 학원, 미용실, 헬스장 등 상업 인테리어 전문 인테리어베이 관계자는 식당 인테리어 전 가스, 소방, 위생 등 관련 허가 및 설치 사항들을 꼼꼼히 살펴 진행하고,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운영 효율성, 고객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인테리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이에 상담 단계부터 전문가와의 실시간 1:1 맞춤 상담을 지원하고, 무료 포트폴리오를 제공하여 상업 인테리어에 전문성을 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업종별 전문가를 배치하여 업종에 따른 맞춤 인테리어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객 니즈를 최우선으로 업종 특성과 최신 인테리어 트렌드, 타깃층 성향 등을 고려한 인테리어 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고객 문의 후 방문 시에는 2D, 3D 디자인을 무료로 제공하며, 공사 도중 발생한 사소한 문제라도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해결하며 고객과 두터운 신뢰를 쌓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인테리어베이는 인테리어 완성 후에도 체계적인 A/S 서비스를 제공하며 높은 고객 만족도를 달성, 이를 기반으로 2020~2022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고객만족 브랜드 인테리어 부문 1위에 3년 연속 선정된 바 있다.

 

 

 

 

 

 

 

 

 

출처 : 파이낸스투데이

오명훈 기자

 원본링크 :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8428